top of page

모호하거나 단순하거나
<숨을 참는 법> 展: 4월 23일(수)부터 5월 31일(토)
Too Arcane or Too Straightforward (Doosan Gallery)

고동연 (미술비평)

국내의 많은 전시들 중에서 제목이 지나치게 모호한 경우들이 많다. 안 그래도 작가들이 다루는 소재나 형태들이 복잡해지면서 미술계의 ‘전문인’들 사이에서도 ‘전위적인’ 작업들을 정확히 이해하는 일이 쉽지 않다. 여기에 전시제목마저 모호하면 혼돈은 가중된다. 이번 <숨을 찾는 법>에서 각종 해체주의적인 쟁점--언어의 이중성, 소통 불가능성, 모순된 상황, 해석의 다양성, 좌절된 상황--이 재현되는 방식도 그러했다. 전시의 제목이나 작업들이 모호해서 진정으로 관객에게 좌절감을 안겨주거나 단순해서 허무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전시 입구에서 “숨을 찾는 법”에 관한 설명이 주어졌다.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긍정적인 의미에서의 거리감 대신에 부정적인 의미에서의 거리감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 <숨을 찾는 법>이 은유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비평적 사회현실에 해당한다. 하지만 정확히 ‘숨을 참는 법’이라는 제목이 이러한 주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불확실했다. 뿐만 아니라 전시장 입구에 놓인 구동희의

<부목>설치를 비롯하여 양정욱의 비교적 고전적인 목조 조각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도 불확실해 보였다. 물론 21세기의 서구 인문과학의 발전이 소통의 불가능성을 줄곧 주장해 왔고 현대미술도 이러한 주제를 열심히 답습해 왔다. 하지만 좌절, 소통의 부재, 모순된 상황을 어떻게 시각적으로 공공의 장소에서 구현하고 관객의 공감대를 얻어낼 수 있을지는 그리 쉽지

않아 보인다. 
전시장 입구에 놓인 구동희의 <부목>은 얼핏 보기에 단순하다. 시간을 두고 관객의 참여를 이끄는 상황이나 작업 구상단계에서 생성된 비하인드 스토리가 없었던 탓에 관객은 전시장의 중앙에 놓인 화분과 외곽에 설치된 각종 설치물들만을 주시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전시장의 CCTV를 가리는 파이프, 생명력을 상징하는 화분, 트럼펫과 악기에 달려서 드리워진 현수막 을 작가의 설명 없이 총체적으로 이해하기란 불가능했다. 물론 멋진 소리를 뿜어대지 못하는 악기나 건물의 뒤쪽에나 숨겨져 있을법한 파이프가 외관으로 노출되어 있는 모습이 모순되어 보이기는 한다. 하지만 그의 설치작업을 그리 단순히 해석해도 될런지, 좀 더 심오하고 독창적인 생각이 숨어있기만을 바랄뿐이었다. 
...
마지막으로 정지현의 <듣기 위해 귀를 사용한 일>은 좌절이 무엇인지, 자신의 감각 기관에 대한 불신이 무엇인지가 비교적 정확하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모호하거나 단순하거나의 비판을 비껴가고 있다. 작은 소파가 놓인 공간 안에 들어가 전화기를 들게 되면 소리 대신
(예민한 사람들만이 들을 수 있는 고주파의 소리)에 불이 켜지면서 앞쪽에 바닷 풍경의 영상이 펼쳐지고 실내의 환경이 도드라진다. 즉 소리를 듣고자 했으나 시각이 더 자극되는 순간이다. 반면에 전화기를 내려놓으면 안쪽의 불이 꺼지면서 관객은 유리에 비추어진 자신의 모습을 대면하게 된다. 보이지 않는 공간, 구석, 천장, 시각과 청각 등의 이면적인 세계에 관심을 지녀온 정지현은 이번 전시에서 자신의 오랜 관심을 현상학적이고 관객 참여적인 방식으로 풀고 있다. ‘

... 중략 (Excerpt) 
 
『퍼블릭아트』, 2014년 6월

Dong-Yeon Koh, "Too Arcane or Too Straightforward," Public Art (Seoul), June 2014.

© 2018. Koh, Dong-Ye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