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h, Dong-Yeon
고동연 高東延
Koh, Dong-Yeon
고동연
서울대, 추계예대 출강
『한국에서의 기억 후세대: 1990년대 이후 미술과 영화
(Postmemory Generation in South Korea: The Post 1990s Arts and Films)』(영문) 집필 중
학 력
2006 뉴욕 시립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 취득(Ph. D), 뉴욕
-전공: 1945년 이후 미국 현대미술, 기타 부전공: 르네상스 미술
-박사논문: “레리 리버스와 프랭크 오하라의 남성성의 재고찰” [1950년대 초기 팝아트와 뉴욕 미술비평] 지도교수: 아나 체이브(Anna Chave)
2006 뉴욕 시립대학교 박사과정 영화이론, 박사자격증 취득(Doctoral Level Certificate in Film Studies)
1999 뉴욕대학교 대학원 박물관학, 석사자격증 취득(Master Level Certificate in Museum Studies), 뉴욕
1996 이화여자대학원 미술사학과(현대미술전공), 석사
-석사논문: “모흘리나기의 작업에 나타난 역동성 원리” [1920년대 바우하우스, 키네틱 조각과 공연매체] 지도교수: 윤난지
1993 이화여자 대학교 장식미술학과(복식전공), 학사
전시 기획 및 미술계 경력 (최근순)
2016-2017 태미예술 창작센터, 대전.
2016-2017 경기창작센터 운영위원, 안산.
2014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전시기획 《응답하라 작가들》, 서울.
2011-2014 신도리코 작가 지원프로그램(SINAP) 심사위원 [공동심사: 영국 서펜타인 갤러리 디렉터 한스 울브리히 오브리스트; 취리히 미술관장 베아트릭스
루프], 서울
2013 금천예술공장, 난지 미술창작스튜디오,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2012-13 창동 창작스튜디오 웍샵 멘토, 창동 창작스튜디오(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2 ROK-이란 레지던시 기획(노마딕 레지던시-한국문화예술위원회) 당선, 7월 이란 방문 및 10월 말 이란 국립 아카데미 웍샵, 테헤란
2012 인사미술공간 전시기획공모 당선(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가들의 연구실을 개방하다.” 인사미술공간, 4월 26일-5월 13일, 서울
2011 동아미술제 전시기획공모 당선(동아일보와 일민문화재단 후원), “여의도비행장에서 인천공항까지,”
[공동기획: 이혜원 교수], 일민미술관, 12월 29일-1월 29일, 서울
2008_02-11 화랑 아트 2021(예화랑 소속) 공동 디렉터, 전시 기획 [21회], 서울
2009_05-11 경기도 미술관과 경기 창작센터, 2009 레지 아티스 국제 학회 기획
[레지 아티스 회장 및 네덜란드의 라익스 아카데미, 일본의 원더사잇, 태국의 밤부 인터내셔널 디렉터 참여], 안산
2005_05-10 작가 레리 리버스의 아카이브 연구소 어시스턴트(현재 리버스 재단 http://www.larryriversfoundation.org), 브리지햄튼, 뉴욕주
1998_09-1999_05 뉴욕 솔로몬 구겐하임 미술관 큐레이터 분과 인턴, 뉴욕
참여 전시: 프란츠 클레멘테(1999), 리서치: 매튜 바니(2003)와 비디오 아트 전시
담당자: 낸시 스펙터(2007년 베니스 비엔날레 미국관 커미셔너, 현재 구겐하임 미술관 대리 디렉터이자 선임 큐레이터, Deputy Director and
Chief Curator), 조앤 영(현재 구겐하임 큐레이터분과 디렉터, Director of Curatorial Affairs)
2010 - present
2010 - present
논문(국제유명학술저널 6편, 국내등재학술지 20편, 국내 학술지 2편)
2018 “DMZ의 장소성(The Place-ness of the DMZ: The Rise of DMZ Tourism and the Real DMZ Project),” Positions, (Duke University Press),
(HCI & A, 국제유명저널), 출간 예정
2017_06 “1990년대 대안적 전시장으로서의 마켓 플레이스와 중국 현대미술계,” 「현대미술사 연구」, 제 41집, pp. 7-35 (등재학술지)
2017_06 “홍대 앞 2세대 대안공간과 대안공간의 확장,” 「현대미술학 논문집」, 제 21권 2호 (등재학술지).
2016_10 “나의 몸, 나의 여성성: 한국 젊은 여성작가(1980년대 생)와 여성의 신체 이미지,” 「나혜석 연구」, 8집 (나혜석학회)
2016_06 “1990년대 일본식 커뮤니티 아트의 시작과 변천: 나카무라 마사토,” 「미술사학보」, 제 46집, pp. 164-186 (등재학술지)
2015_06 “중국 현대미술과 '노마딕 레디메이드': 아이웨이웨이와 니하이펑,” 「현대미술사 연구」, 제 37집, pp. 7-33 (등재학술지)
2015_06 “워홀과 1964년 세계박람회, 그리고 영화 <엠파이어>,” 「현대미술학 논문집」, 제 19권 1호, pp. 1-45 (등재학술지)
2015_05 “1960년대 라우션버그와 로젠키스트의 ‘사회비판적인’ 팝아트,” 「미국사 연구」, 제 41집, pp. 37-73 (등재학술지)
2015_03 “한국에서의 늦은 사진(Late Photography in South Korea: Heungsoon Lim, Onejoon Che, Suyeon Yun)," Photography and Culture, vol. 8 no. 1
(March 2015), pp. 81-106. (London: Bloomsbury Pub.), (HCI & A, 국제유명저널)
2014_12 “도쿄 팝의 이단자 요시모토 나라: 펑크 록과 예술가의 팬,” 「미술사학보」, 제 43집, pp. 247-273 (등재학술지)
2013_12 “전지구화 시대의 일본 현대미술과 비평: ‘1965 그룹’, 일본에서 세계로, 세계에서 일본으로,” 「현대미술학 논문집」제 17권 2호, pp. 7-54.
2013_12 “소비문화와 마오시대 노스탤지어 사이에서,” 「현대미술사연구」제 34집, pp. 275-304.
2013_09 “한국적 퀴어를 세계화하다 (Globalizing Korean Queers)?,” Inter-Asia Cultural Studies, 런던, vol. 14 no. 3, 2013년 9월, pp. 378-400 (HCI & A, 국제유명
저널)
2012_13 “1990년대 레트로 문화의 등장과 최정화의 ‘플라스틱 파라다이스’, ” 「한국기초조형학회」, vol. 13. no. 6, 2012년 12월, pp. 3-15.
2012_06 “베트남 전쟁과 물건의 기억,” 「미국사연구」제 35집, pp. 121-160.
2012_05 “최정화의 플라스틱 파라다이스: 1990년대 대중소비문화의 분화와 한국현대미술,” 미술사 포럼, 이화여자대학교.
2012_03 “내셔널 만화와 만화 캐릭터를 만들거나 허물다( (Un)Making National Manwha),” 「코리아 저널」유네스코, vol. 52 no. 1, pp. 171-206. (HCI & A, 국제유명
저널)
2011_04 “전지구화 시대의 중국 현대미술과 비평: 우흥과 실험적인 예술 vs. 가오 밍루의 트랜스 내셔널 ‘아방가르드,” 「현대미술사연구」제 29집, pp. 69-99.
2011_04 “‘아트’에서 시각문화로: 동아시아 ‘팝아트’ 작가들과 후기 식민주의 논쟁, 2011년 미술사학 연구회, “특별 심포지엄, 현실과 재현: 동아시아 현대미술의 쟁점
들,” 미술사학 연구회, 한성대학교.
2010_09 “무라카미의 ‘작은 소년’ 신드롬: 일본과 미국 미술에서 과연 희생양인가 혹은 공격자인가(Murakami’s Little Boy Syndrome: A Victim or Aggressor in
Contemporary Japanese and American Art),” Inter-Asia Cultural Studies, 런던, vol. 11 no. 3, pp. 393-412. (HCI & A, 국제유명저널)
2010_03 “서평: 제임스 엘킨스『미술사는 글로벌한가?』”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제 32집, pp. 269-277.
2009_12 “전후 한국 영화에 등장하는 주한 미군의 이미지: 신상옥의 지옥화에서 김기덕의 수취인불명으로,” 「미국사연구」제 30집, pp. 147-175.
2009_06 “남성성의 ‘위기’: 뒤샹, 전쟁, 그리고 국가주의,” 「현대미술사연구」제 25집, pp. 31-57.
2008_12 “‘시각적 즐거움’과 남성의 몸: 존 오라일리의 ‘거장’ 시리즈를 중심으로,” 「미술사학보」제 31집, pp. 361-388.
2008_02 “‘금지된 이미지들’: 현대미술과 셉서쉽,” 「비주얼」vol. 5 (특집: 예술과 사회),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pp. 6-25.
2007_12 “성 구분의 혼란과 가족의 몸: 레리 리버스의 누드화와 1950년대 미국” 추계 학술 심포지엄: 미술사와 몸,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제 28집, pp. 249-278.
2007_12 “1950년대 뉴욕 화단에서 가십, 미술비평, 그리고 남성성에 대한 논의: 프랭크 오하라의 경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보」제 29집, pp. 85-114.
2007_09 “모든 것을 건 여성들: 러시아 구축주의자들과 1920년대 여성문제,” 「현대미술사연구」제 20호, pp. 47-90.
2004_12 “동성애자들의 자아상 표현: 레리 리버스와 프랭크 오하라,” 「현대미술사연구」제 15 호, pp. 419-448.
국제 학술대회 및 미술관 발표(9회)
2017_10 “한국 여성미술에서 여성 몸의 모순적 위치(The Paradoxical Place of the Female Body in Feminist Arts in South Korea),” 한국 근현대미술,
로스앤젤레스 미술관(Los Angeles Museum of Art), 로스앤젤레스
2017_06 “일본과 한국의 거리미술과 우편예술에 대한 비교국가적인 연구(Transnational Approach toward Street and Mail Art Events in Japan and South Korea:
The Ginbuart, Shinjuku Shonen Art and Jindalrae’s Bone),” 파넬 정부, 시장, 거리 사이에서(Between State, Market, and Street),
미술대학 총연합회(CAA, College Association of Arts) 아시아 학회, 고려대학교
2016_02 파넬 공동체어, 파넬 “국내와 국외(Here and Abroad: The Globalization of K(Korean)-Art and Other Myths)” 미술대학 총연합회(CAA, College
Association of Arts) 104회 연례 학회, 워싱턴 디시
2012_03 “귀국 박스 안을 열다(Recovering the Inside of the Home-Coming Boxes,” 아시아학 협회 모임(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Annual Meeting),
토론토, 캐나다
2010_03 “아톰보이와 마징가 제트를 보고 크다: 산업화, 과학만능주의, 그리고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Growing up with Astro Boy and Mazinger Z:
Industrialization, Technophile, and Japanese Manga and Animation in Korea),” 아시아학 협회 모임, 필라델피아
2009_06 “무라카미의 ‘작은 소년’ 신드롬: 일본과 미국 미술에서 과연 희생양인가 혹은 공격자인가(Murakami’s Little Boy Syndrome: A Victim or Aggressor in
Contemporary Japanese and American Art),” 발제 및 파넬 “너무 귀여운 것에 대한 변명: 국제적인 맥락에서 살펴본 일본 최근 대중문화와 미학” 조직,
일본 아시아학 컨퍼런스(Asian Studies Conference Japan), 소피아 대학교, 동경
2009_03 “다른 언니들이 온다: 한국 최초의 레즈비언 전시회 프로젝트 L(“Different Eonnis Are Coming”: The Project L, the First Lesbian Exhibition),
심포지엄 현재의 여성주의 (Feminism Now), 브룩클린 미술관, 뉴욕
2008_12 “‘한국식’ 아톰 보이: 한국예술과 문화에서 일본 만화의 수용에 관한 연구(Creating “Korean” Astro Boy Atom: The Reception of Japanese Manga and
Animation in Korean Art and Culture)” 제 1회 아시아 대중문화 이론과 교육 학회(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r Culture in Asia),
홍콩 국립 사범대학교, 홍콩
2006_09 “재즈클럽 ‘파이브스펏’의 뒷자리에서: 1950년대와 1960년대 레리 리버스, 문학, 그리고 음악(A Back Table at the Five Spot: Larry Rivers, Literature, and
Jazz in the 1950s and 1960s),” 학회 “환경의 존재유무를 초월하여(Environment: Within and Without), 미국학과 대학원 컨퍼런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강의
2014- 추계예술대학교 동양화과, 서양화과, 대학원 [현대미술비평] (4학기)
2016-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미디어 아트 전시기획] (3학기)
2016-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서양화과 [현대미술 1, 2] (4학기)
2014-2015 홍익대학교 대학원 예술학과 [현대미술론 1 & 2] (4학기)
2013 건국대학교 [태도로서의 현대미술, 미술학과 대학원 세미나 수업, 전시 파이널 비평 포함]
2007_03-2013_04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의명: 세미나-아방가르드의 딜레마와 작가 지원프로그램, 세미나-시각문화연구, 현대미술읽기, 세미나-1980년대 이후의
현대미술 이론과 미술, 원서 강독1]
2012_03-06 홍익대학교 디자인경영대학원 [국제어 강의명: 디자인 미학-Modern Aesthetics]
2009_03-2011_12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3학기 [국제어 강의명: Modern Art Theories and Criticism]
2009_03-2010_06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2학기 [국제어 강의명: Korean Cinema in Global Context]
2009_09-12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국제캠퍼스 [국제어 강의명: Modern Art History]
2009_09-12 경원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각과 [강의명: 현대미술사]
2007_03-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강의명: 현대미술비평]
2007_06-08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 여름프로그램 [국제어 강의명: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s]
주요 비평문 (전시도록)
2017_04 “반 엘리트적 흐름들과 미술비평: 덕후, 신생(자생)공간, SNS,” 「미술평단」, (한국미술평론가협회)
2017_10 진민욱 “관찰과 관념 사이에서,” 최경진, “최경진의 모서리 풍경,” 가창창작 스튜디오 프로그램 결과집, 대구문화재단.
2017_02 “심승욱: ‘유머’의 어원과 유머의 효과,” 고양창작스튜디오 도록. 국립현대미술관.
2016_12 "Korean Pop Art and Nostalgia,”K-Art Conversation, Art Miami 와 예술경영지원센터
2016_12 “덕후의 시대에 현대미술비평: 송민규의 클리쉐 추상화,”『퍼블릭아트』.
2016_12 “어느 제도권(?) 미술계의 관점에서 본 신생공간,”『미술세계』.
2016_10 “식민지 조선의 여인들과 마주하다.” 강애란 개인전, 브로슈어, 아르코 미술관.
2016_09 “수자: 보편적인 조형언어를 향하여,”『미술세계』.
2016_08 “공상과학 소설 ‘덕후 ’송민규가 살아가는 방식,” 브로슈어, 경기도 미술관.
2016_06 “송민철: 반응하는 눈,”금천 예술공장 도록.
2015_12 “차혜림의 인터페이스와 21세기의 시각문화,” 도록.
2015_12 “나는 알지 못한다”의 계보에서: 그때와 지금,”《세븐사인》, 양구 박수근 미술관, 경기도 양주.
2015_12 “구즈(Goods)에 대하여 글을 써야 하나 말아야 하나?: 예술가들을 위한 예술가들에 의한 예술가들의 아트 마켓,”『퍼블릭아트』.
2015_12 “이창훈의 ‘ob_scene’ 전략: 미학적 ‘간섭’들이 던지는 과제,” 인천아트플랫폼 도록.
2015_09 “박정기의 ‘거대한 디자인(Grand Design)’,” 난지창작스튜디오 도록.
2015_09 “여성을 위한 여성에 의한 이야기를 구현하기: 박성연,” 클레이아트 뮤지움 도록.
2015_09 “김실비: 과연 누가 전지구화를 두려워하는가?,” 인사미술공간, 『월간미술』.
2015_09 “무엇이 ‘아시아 여성’ 작가들을 ‘아시아 여성 작가’들로 만들고 있는가?,”《동아시아 페미니즘: 판타지아》, 서울시립미술관 도록.
2015_04 “젊은 모색전 리뷰,”『월간미술』.
2015_03 “복지기금의 과제: 예술인 복지와 예술 진흥사업 사이에서,” 『퍼블릭아트』.
2014_12 “작가기획 ‘투어(Tour)’와 최근 국내미술: 오래된 질문들을 새로운 포대에 담기,”『월간미술』.
2014_09 “천민정의 행복한 북한아이들,”『월간미술』.
2014_07 발제 2 “현대미술에서 물건의 기억: 무엇이 문제인가?,”리트머스 4차 포럼 발제.
2014_06 “모호하거나 단순하거나: <숨을 참는 법>,” 두산갤러리, 『월간미술』.
2014_06 “<오늘의 살롱>과 “사상의 자유시장”: 작가 운영화랑에 대한 제언,”『퍼블릭아트』.
2013 “비닐봉지의 지형학: 이연숙,” 2013년 11월, 갤러리 앱상트
2013 “홍원석,” 홍성시장 입주작가 프로그램.
2013 “신경진의 변수: 측정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결과 사이에서,”『2013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 보고전』, 서울시립미술관.
2013 “김아영: 식민지 시대의 철도 변증법,” 난지미술창작 스튜디오 7기. 문래예술공장.
2013 “클레가의 데페이즈망,” 2013년 7월, 스페이스 오뉴월.
2013 “최원준의 돌고도는 역사를 재현하기 위하여,” 2013년 4월, 2012-2013 금천예술공장.
2012 인터뷰 “이완, 아아, 순정,”『이완』, 2013년 3월 대구미술관.
2012 “말(예술)이 해석을 필요로 할 때,”『글과 그림』, 2012년 9월, 원앤제이 갤러리.
2011 국립현대미술관(조선일보 후원), “미국의 소프트 파워: 1950년/60년대 미국의 음식문화와 팝아트,”『이것이 미국미술이다』덕수궁 분관, 6월 11일-9월 25일, 서울
2011 “김은진의 치유와 초탈을 위한 ‘남녀상열지사’: 신기를 담은 물건의 성상화(Icon)” 『김은진 개인전』갤러리 16번지(현대화랑), 4월 14일-5월 22일, 서울
2010 국립현대미술관, “박기원의 (탈)장소성”『2010 올해의 작가: 박기원』본관, 4월 6일-5월 30일, 과천
2008-2009 “김종학과 세잔이 만나다”『김종학 개인전』예화랑, 12월 12일-1월 17일, 서울
2008 “기원, 근원, 그리고 이탈된 이미지들,”『이민호 개인전』터치아트, 11월 22일-12월 14일, 파주
주요 비평문 (미술잡지)
“마지막 여행은 달에 가고 싶다: 정경자 리뷰,” 「월간미술」, 2018년 3월호.
“초상사진이 현대미술사에 기여한 바,” 「월간사진」, 2017년 8월호.
“리뷰 국립현대미술관 젊은 모색전,” 「월간미술」, 2015년 3월호.
특집 “복지기금의 과제: 예술인 복지와 진흥법 사이에서,” 「퍼블릭아트」, 2015년 2월호.
“관광,” 「월간미술」2014년 3월호.
“리뷰 커먼센터,” 「퍼블릭아트」, 2014년 3월호.
“리뷰 만화가 현대미술에서 사용되는 세 가지 방식: 아라리오 한중일 만화소설전,” 「퍼블릭아트」, 2014년 3월호.
"리뷰 삼포 세대(三抛世代)중의 삼포 세대?; 하이트컬렉션 신진작가전," 「월간미술」, 2014년 3월호.
“Place/Community,” 「월간미술」, 2014년 1월호, pp. 134-139.
“왜 아직도 예술과 과학인가,” 「월간미술」, 2013년 11월호, pp. 138-143.
“덜 혜택 받은 이들의 반격,” 「월간미술」, 2013년 9월호, pp. 178-181.
“나의 사랑 유사-다큐멘터리,” 「월간미술」, 2013년 6월호, pp. 128-133.
“우리시대의 회화적 질문,” 「아트인컬쳐」, 2013년 6월호, pp. 58-61.
“최정화의 카발라,” 「예술경영」, 2013년 4월호.
“(전시를 무엇인가?)를 위한 무대,” 「퍼블릭아트」, 2013년 4월호.
“국내 오브제 미술의 탈 오브제성, 오브제에서 시스템으로: 이완, 구민자, 박준범,” 「월간미술」, 2013년 4월호.
“관계의 미학과 관객참여의 실상,” 「월간미술」, 2013년 2월호, pp. 140-145.
“폭력적인 자세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월간미술」, 2012년 9월호, pp. 140-145.
“라운드 테이블의 득과 실: 광주 비엔날레,” 게스트 에디터, 「공간」, 2012년 9월, pp. 100-105
“신디 셔먼, 포스트 페미니즘, 그때(1908년대)와 지금,” 「월간미술」, 2012년 7월호, pp. 114-121.
“청춘과 실패” (전시기획안), 특집: 청춘 29+1의 희로애락, 「아티클」, 2012년 6월호, pp. 106-107.
“미술대학 교육과 실용주의: 리서치로서의 예술 박사 프로그램” 「아트인컬쳐」, 2012년 2월호, pp. 142-47.
“팝아트와 서브컬처 4: 건들지 마라! 치카노 하위문화와 아스코” 「월간미술」, 2011년 12월호, p. 182-87.
“러시아 현대미술의 ‘동시대성’과 미술사적 기억,” 「미술세계」, 2011년 10월호, pp. 126-29.
“팝아트와 서브컬처 3: “샌프란시스코에 가면 반드시 꽃을 꽂으세요! 히피, 캘리포니아 아상블라주, 사이키델릭 아트,” 「월간미술」, 2011년 8월호, pp. 156-61.
“팝아트와 서브컬처 2: 1960년대 미국 서부 팝아트에 등장하는 폭주족 문화,” 「월간미술」, 2011년 5월호, pp. 170-75.
“팝아트와 서브컬처 1: 영국의 인디펜던트 그룹과 1950년대 공상과학영화 팬텀,” 「월간미술」, 2011년 4월호, pp. 162-67.
“전설이 되어버린 전시 8: <포스트 휴먼전>: 새로운 인체예술의 최전선,” 「월간미술」, 2011년 1월호, pp. 162-69.
“Platform2008:Close Encounters with Space, History, and Memory(플랫폼 2008 리뷰),” Flash Art International On-Line, January, http://www.flashartonline.com/interno.php?pagina=newyork_det&id_art=287&det=ok&title=Platform-Seoul-2008:-Close-Encounters-with-Space,-History,-and-Memory.
“리뷰: 이용백, 플라스틱 전,” 「아트인컬쳐」, 2008년 11월호, pp. 196-197.
“Defining Asian-ness at ACAF NY 2007(2007 아카프에서 아시아적인 것을 정의하기),”M/The New York Art World, vol. 11, December, pp. 10-19.
“리뷰: 장 피에르 레이노,” 「아트인컬쳐」, 2007년 8월호, p. 148.
“이주희: 브레인 팩토리전,” 「월간미술」, 2007년 4월호, pp. 161-62.
“게릴라 건축가 운동, 앤트 팜(1968-78),” 「미술세계」, 2004년 12월호, pp. 57-59.
“월드 아트: 매튜 바니, 구멍, 그리고 새로운 성의 발견,” 「아트인컬쳐」, 2000년 2월호, pp. 120-21.
“프란츠 클레멘테 회고전: 영혼과 육체가 합일된 카니발의 세계(구겐하임 미술관),” 「월간 미술」, 1999년 12월호, pp. 108-113.
“로이 시몬스전: 인형의 연출과 조작된 리얼리티,” 「월간미술」, 1997년 7월호, pp. 98-101.
“시각 환경의 변화와 비디오 아트: 전망 좋은 방(Room with a View),” 「월간미술」, 1997년 5월호. pp. 108-110.
“시대상황과 성의 문제, ‘장미는 장미다.’ 사진속의 성의 행위,” 「월간미술」, 1997년 3월호, pp. 134-35.
“자연대상에서 추상으로: 엘스워드 켈리(구겐하임 미술관),” 「월간미술」, 1996년 12월호, pp. 142-43.
“나는 당신의 거울이 될 것입니다.(휘트니 미국 미술관),” 「월간미술」, 1996년 11월호, pp. 154-57.
“매체 미술의 현황과 새로운 가능성: ‘미디어 스케이프전’(구겐하임 미술관),” 「월간미술」, 1996년 8월호, pp. 120-25.
“피카소의 연인들: 피카소와 초상화전(뉴욕 현대 미술관),” 「월간미술」, 1996년 6월호, pp. 142-47.
“키엔홀츠: 미국사회 병폐의 고발(뉴욕 휘트니 미술관)” 「월간미술」, 1996년 5월호, pp. 136-39.
“해외 뉴스, 유럽과 미국의 가교 역할, 미국적 스케일의 실현,” 「월간미술」, 1996년 3월호,pp.153-56.
편저서 및 부분
2018_09 14장 “디바이스 아트: 일본 동시대 미디어 아트를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방법,” 미디어아트 히스토리, 올리버 그라우 편, 서울: 칼라박스,
2017_10 “한국 여성미술에서 여성 몸의 모순적 위치(The Paradoxical Place of the Female Body in Feminist Arts in South Korea),” 한국 근현대미술 앤솔로지
출간 예정, 파이돈 프레스(Phaidon Press) 출간 예정
2018 『소프트파워에서 굿즈까지』, 서울: 다할미디어.
2016 고동연, 신현진 (공저),『Staying Alive: 우리시대 큐레이터 생존기』, 서울: 다할미디어.
2015 『팝아트와 1960년대 미국사회』, 서울: 눈빛.
2015 『응답하라 작가들』, 서울: 스페이스 오뉴월.
2013 “1990년대 레트로 문화의 등장과 최정화의 ‘플라스틱 파라다이스’, ”『한국현대미술 읽기』, 윤난지 엮음 (서울: 한길아트)
2012 “라즐로 모흘리나기 관객참여프로젝트”『현대조각 읽기』, 윤난지 엮음 (서울: 한길아트)
2013 “‘한국식’ 아톰 보이: 한국예술과 문화에서 일본 만화의 수용에 관한 연구(Creating “Korean” Astro Boy Atom: The Reception of Japanese Manga and
Animation in Korean Art and Culture)“ in 『일본만화 교육과 연구(Teaching and Researching Japanese Animation: Asian Perspectives』ed. by Yokota
Masao, Knoxville: University of Tennessee, pp. 155-182.
2012 『예술가들의 연구실을 개방하다』전시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0 Larry Rivers and Frank O’Hara: Reframing Male Sexualities in Art and Culture of the 1950s, Germany: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학술관련 수상 및 활동
201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창작산실 비평지원
2016 서울문화재단 예술연구서적 발간지원
2014-2015 한국연구재단 시간강사 연구지원 “레디메이드에서 상품으로: 아시아 현대미술과 노마딕 오브제” 선정
2013 현대미술학회 평생회원
2011-2012 한국연구재단 시간강사 연구지원 “전지구화 시대의 동아시아 현대예술: 일본, 중국, 한국의 팝아트와 노스탤지어”
2012_06 한국기초조형학회 평회원
2011_06 미국사학회 평회원
2007_03 미술사학 연구회 평생회원 및 임원(학술 2015-17, 홍보 2017-)
2007_03 현대미술사학회 평생회원 및 임원(출판 2012-15, 홍보 2016-)
2007_03 서양미술사학회 평생회원
© 2018. Koh, Dong-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