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h, Dong-Yeon
고동연 高東延
기꺼이 속아주는 관객들:
강호연의 환영주의적인 풍경
The Audience Who Allows Oneself to be Duped:
Hoyeon Kang's Illusionary Landscape
고동연 (미술사가)
제우시스(Zeuxis)가 자신의 포도 그림을 개봉하자 새가 날아와서 쪼아 먹었다. 이윽고 제우시스는 패러시 우스(Parrhasius)에게 커튼을 열어 당신의 그림을 보여 달라고 했다. 하지만 정작 패러시우스가 그린 것
은 커튼이었다. 승리는 당연히 패러시우스의 차지였다. [이에] 제우시스는 ‘나는 새를 속였고 패러시우스는
제우시스를 속였다’고 말했다.
제우시스와 패러시우스의 일화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15세기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면서 서양미술사에서 가장 빈번하게 회자되는 에피소드중의 하나가 되었다. 『자연의 역사(The Natural History)』(기원후 79년, 로마시대)에서 플리니 엘더(Pliny the Elder)는 단순하고 일상적인 소재로도 얼마든지 ‘진정한’ 미의 경지인 사실주의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제우시스의 에피소드를 인용하였다. 그런데 제우시스의 예는 현대미술에서도 계속되고 있는 환영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을 유도한다. 그리스 최고의 화가인 제우시스는 왜 눈앞에서 그려진 커튼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하였을까? 어떻게 평생 동안 남의 눈을 속여 온 제우시스가 그리도 쉽게 ‘눈속임’에 넘어갔을까? 그렇다면 과연 환영과 착각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을까?
글의 서두에서 필자가 제우시스의 고전적인 예를 든 것은 강호연의 설치 작업이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풍경들을 각종 오브제들과 기재들을 사용해서 만든 환영주의 기법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노끈, 신문지, 박스, 손전등 등을 이용하여 스위스 융프라우(Jungfrau), 백사장이 있는 해변, 한 밤의 보름달, 백야와 오로라로 유명한 핀란드 라플란드(Lapland)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절경들을 재현하여 왔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필자가 강호연의 환영주의적인 설치 작업에 관심을 지니게 된 것은 단순히 그의 기술에 탄복해서만은 아니다. 대신 필자는 작가가 어떠한 의도로 환영주의적인 수법을 반복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환영주의가 관객들에게 어떠한 즐거움을 주게 되는지, 과연 작가와 관객간의 ‘속고 속이는 과정’이 현대미술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가 궁금해졌다. 르네상스 이후 서구 미술이 눈속임의 역사이어 왔다면 새삼스럽게 이러한 역사가 왜 현대미술에서 반복되고 있는지가 궁금해졌다.
...중략 (excerpt)
강호연, OCI 미술관, 2015년 6월.
Dong-Yeon Koh, "The Audience Who Allows Oneself to be Duped: Hoyeon Kang's Illusionary Landscape," Exh. Brochure of 2015 OCI Young Creatives, OCI Art Museum, June 23, 2015.
© 2018. Koh, Dong-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