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h, Dong-Yeon
고동연 高東延
유의정: 도자기를 통하여 살펴 본 당대 삶의 방식
Yoo Eui-Jeong: The Contemporary Ways of Life As Reflected in Ceramics
고동연 (미술사)
내 작업 안에서의 ‘도자기’는 의식의 흐름을 담을 수 있는 주된 언어이자, 정신을 물질화하여 보전(保全)시킬 수 있는 매질(媒質)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의 작업은 발견된 ‘유물’의 역할이 그러하듯이, 당대의 삶의 방식들을 기록하고 보전한다. (유의정 2014)
서론: 삶의 방식을 섞다.
유의정은 도자기를 사용해서 당대 삶의 방식을 기록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그가 주장하는 당대 삶의 방식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구하기란 쉽지 않다. 당대라고 해도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문화의 범위를 한정짓는 것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당대의 문화를 임의적으로 특정한 시공간적 배경으로 한정시키고 그 안에서 문화를 몇 가지 특징에 따라 구분하고 정의하는 일이 여간 위험한 일이 아니다. 실제로 유의정이 당대의 문화를 논의하는 방식은 그에 대하여 정의하는 것보다는 당대의 문화가 과연 무엇인지에 대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재고해 보도록 유도하는 편에 가깝다. 웅장한 러시아 파베르제 에그(Fabergé egg)를 연상시키는 형태의 정중앙 위에 중국의 한자가 새겨져 있다든가 국보에 해당하는 고려 상감이 들어간 대접의 중앙에 스타벅스의 문양을 넣는다든가 하는 식의 수법은 문화적 혼용성의 예에 해당한다. 그러나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다양한 도자기의 형태와 모티브가 뒤섞여 있는 도자기들은 ‘혼용성’ 그 자체를 재현해내고 있다기 보다는 문화적인 순수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쪽에 가까워 보인다.
이 때문에 필자는 유의정의 최근 행보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점차로 작가는 도자기 자체를 만드는 방식에서부터 도자와 연관된 각종 행위예술을 진행하는 방식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순수하게 한국적이란 양식은 과연 어떻게 규정되고 연구되며 퍼져나가게 되는가? 혹은 우리가 특정한 사물을 바라보게 될 때 우리는 사물의 이면, 혹은 바라보는 대상을 온전하게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는가?
...중략 (excerpt)
Dong-Yeon Koh, "Yoo Eui-Jeong: The Contemporary Ways of Life As Reflected in Ceramics," Meeting at the Clayarch Gimhae Museum.
© 2018. Koh, Dong-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