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h, Dong-Yeon
고동연 高東延
이창훈의 ‘ob_scene’ 전략:
미학적 ‘간섭’들이 던지는 과제
Chang-hoon Lee's Ob_Scene:
The Task of His Aesthetic Interventions
고동연(미술사)
2012년 신촌 로터리에 위치한 한 건물 옥상 영상 선전 스크린 내부에 이창훈은 영상물을 비췄다. 원래 거대 광고판에는 광고와 시사 뉴스가 돌아가기 마련이다. 대신 이창훈이 대여한 전광판에는 매우 평범해 보이는 한 젊은 남성이 등장한다. 영화 트루먼 쇼에서와 같이 일상적인 인간들에 비하여 거대하게 확대되어져 있는 남성의 시선은 전지전능한 존재가 인간들을 내려다보듯이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과연 그는 누구일까? 그는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가? 이창훈이 제시한 남성의 이미지가 평범하면 평범할수록 호기심은 배가된다.
<V와 R사이>라는 타이틀이 부쳐진 이창훈의 거대 전광판, 영상 프로그램은 작가의 코믹한 제스처가 돋보이는 작업이다. 그러나 동시에 전광판 속 남자의 이미지 자체는 도로 위에서 이동 중인 일반인들의 관심을 그다지 끌지 못한다. 전광판의 거대한 스케일과 높이에도 불구하고 신촌 로터리를 이용하는 행인들이 빌딩 옥상에 달려 있는 영상을 쳐다보게 되는 일은 흔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창훈의 간섭은 이와 같이 미묘한 차원에서 일어난다. 동일한 풍경을 찍은 두 개의 사진으로 구성된 <또 다른 풍경>(2014)에서도 풍경의 변화는 쉽게 감지되지 못한다. 작가는 ‘정상적’이고 평온해 보이는 풍경 속에 위치한 연못의 물을 전량 교체하는 수법을 썼다. 혹은<Ob-scene>(2013)에서는 포르노 영상들을 합성하고 낮은 속도로 재생함으로써 기존의 이미지를 최대한 알아볼 수 없도록 해체하였다. 이와 같이 이창훈의 ‘간섭’은 모순되게도 시각적인 경험을 배제하거나 축소, 혹은 미세하게 변형시켜서 진행된다. <또 다른 풍경>에서 두 화면의 차이란 결코 쉽게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없으며, <Ob-scene>에서 작가는 기존의 영상 이미지를 변형시켜서 관객들이 알아차릴 수 없게 만들어 버렸다.
그렇다면 이창훈이 우리의 도시나 자연 풍경을 간섭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는 어떻게 시각 예술가이면서도 관객이 시각적으로 잘 알아차릴 수 없는 방식으로 변형을 꾀하고 있는가? 현대미술에서 이창훈과 같이 ‘숨은 그리 찾기’식의 전략을 사용하는 작가들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관객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도출해 내고 작업이 가변적인 의미를 지닌 수수께끼처럼 읽히기를 원하는 많은 현대 작가들이 이와 같은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시각성이 최우선시 되는 현대미술에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작가에게나 관객에게 여러 문제점들을 야기 시킨다. 이에 필자는 이창훈 작업에서 간섭의 전략이 현대미술의 작가들이나 관객들에게 어떠한 과제를 던져주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언급하고자 한다.
...중략 (excerpt)
Dong-Yeon Koh, "Chang-hoon Lee's Ob_Scene: The Task of His Aesthetic Interventions," Annual Report and Exh. Cat. for Incheon Platform, Incheon, 2016.
© 2018. Koh, Dong-Yeon